2010년 1월 27일 수요일

iPad 가 나왔다.

iPad 가 드디어 발표가 되었다. 하지만 기대가 너무 컸던 것일까, 기대했던 모습과는 너무나도 다르다. 결국은 iPod Touch 의 사이즈를 키우고 거기에 iBooks 만 추가한 모습이 다인 것 같다. 내가 봤을 때 이 iPad 의 장단점에 대해서 정리해 보고자 한다.

우선 첫번째 실망한 부분은 화면 해상도가 1024 x 768 밖에 안 된다는 점이다. 물론 화면 resolution 을 줄인 데에는 H/W 사양이나 기타 이유가 있긴 하겠지만, 내 노트북도 10" 이지만 화면 해상도는 1400 X 1050 이다. 참고로, 내 노트북도 태블릿 PC 이다. 이정도면 노트북을 대체하기엔 무리가 있으며 고해상도의 미디어 플레이어로도 활용하기 힘들다.

두번째 실망한 부분은 맥북이 아니라 iPhone 에서 출발했다는 점. iPad 는 iPhone 에서 사용했던 사용성을 기대할 수 있겠지만 맥북에서의 사용성은 기대하기 힘들 것이다. 이정도 크기라면 차라리 그냥 노트북을 들고 다니는 게 할 수 있는 일이 더 많기 때문에 굳이 iPad 를 따로 들고 다닐 필요가 있나 싶다. 하지만 iPhone 의 사용성을 무시할 수는 없다. 많은 사람들이 iPhone 을 처음 접했을 때 어색해 하지만 한번 익숙해지고 나면, (그리고 익숙해지는 시간도 빠르다.) 그보다 더 편하게 쓸 수 있도록 만드는 것은 쉽지 않을 것이라고 말한다.

세번째 실망한 부분은 저장 공간 사이즈. 최대 잡아봐야 64G 밖에는 지원하지 않는다. 이 정도면 1080p 정도의 동영상을 저장하려면 몇개 저장하지 못한다. 적어도 노트북 시장을 공략하려면 몇백G 정도의 저장 공간은 확보해야 한다. 물론 사용성이 다르기 때문에 용도가 틀리지 않는가라고 하면 그럴 수도 있겠지만, 그런 경우 iPad 와 노트북을 따로 들고 다녀야 할 것이다.

iPhone 의 경우는 휴대폰을 대체하며 노트북과는 별도로 들고 다닐만한 가치가 있었다. 그러나 iPad 의 경우에는 노트북을 대체할 수도 없으며 그렇다고 휴대폰을 대체하지도 못한다. 그럼 또 따로 들고 다녀야 하는 물건만 하나 더 생길 뿐이다. 이런 걸 봤을 때 과연 iPad 가 시장에서 제대로 된 위치를 차지할 것인가는 의문이 든다. 물론 iPad 가 이런 단점만을 가지고 있는 것은 아니다.

먼저 첫째로 iBooks 를 무시할 수 없다는 점을 들 수 있다. 기존의 아마존에서 팔고 있단 킨들이란 물건을 써본 사람이라면 확실히 iPad 는 이 킨들을 대체할 수 있는 물건은 된다고 본다. 그리고 여기저기서 ebook 이란 이름 아래 비슷한 물건을 만들고 있는 형태를 봤을 때 애플이란 이름으로 이 시장에 한 발자국 들여놨다는 데는 분명 의의를 둘 수 있다. 게다가 iPhone 때와는 달리 이 부분은 시장이 커지기 전에 들어왔기 때문에 시장 선점의 효과도 볼 수 있다.

두번째로는 넷북 시장의 확장이다. 사실 내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넷북이라고 지칭하는 것들의 정체조차도 명확하지 않다고 본다. 넷북은 저 사양 노트북의 다른 이름인것 외에는 나에게 의미가 없다. iPad 가 나와 같이 노트북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에게는 별로 매력이 없을 수 있다. 그러나 노트북이나 넷북이란 것을 들어보지 못하거나 안 썼던 사람들은 iPad 가 나옴으로써 사용하기 쉽운 기계를 접하면서 새로운 사용자 수요을 늘릴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분명 기존 노트북보다는 기능이 딸리지만 쉽게 쓸 수 있는 물건이기 때문에 아이들이나 나이드신 분들까지도 사용이 가능할 것이다. iPhone 이 기존 일반폰 사용자들을 스마트폰으로 끌어들인 것 처럼.

이제 주사위는 던져졌다. 남은 것은 사용자들의 선택만이 남은 것 같다. 그리고 내가 봤을 때, 이제 이 부분에서의 춘추전국시대가 열렸다. 누구라도 자신만의 색을 가지고 시장을 휩쓸 수 있는 기회가 왔다고 생각된다.

2010년 1월 26일 화요일

2010년 1월 25일 월요일

왼쪽의 블로그 목록

내 블로그의 왼쪽 사이드 바 부분을 보면 블로그 목록이 나온다. 이 곳에는 관심 블로그를 등록해 놓고 새로운 글이 올라올 때마다 확인할 수 있는 공간이다. 실제로는 이곳에 등록되는 것은 RSS 피드들이다. RSS 피드가 달린 것들은 어떤 것이든 등록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블로그라고 하는 것들은 대부분 RSS 피드를 함께 제공하고 있기 때문에 이 곳에 등록할 때는 블로그 URL 만 넣어주면 알아서 RSS 피드를 찾아내고 그 피드로 오는 글을 확인할 수 있다. 등록할 때는 블로그 URL 외에도 RSS 피드 URL 을 직접 넣어줘도 된다. 참고로 네이버 블로그 같은 경우엔 블로그에서 제공되는 RSS 피드가 버전이 3개나 있어서 자동으로 찾게 하면 제대로 못 찾는 경우도 생긴다. 그래서 네이버 블로그의 경우엔 RSS 피드 URL 을 직접 입력해놨다. (초기엔 이걸 몰라서 네이버 블로그는 새글 확인이 안되는 줄 알았다.)

블로그란 공간이 가장 빠른 정보 획득의 한 수단으로서 자리잡는 것 같다. 외신 보도들을 봐도 다들 어느어느 블로그에 무슨 글이 올라왔다는 것을 인용하면서 기사를 쓰는 것들도 많다. 특이 유명인들의 블로그는 최신 정보를 먼저 블로그에 올려놓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블로그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 단, 블로그의 글들은 개인이 올리는 글로서 그만큼 신빙성은 떨어진다. 수많은 루머들이 많이들 올라오고 공식적인 입장 보다는 개인적인 의견 위주로 되어 있는 것들이 많다. 이 점을 감안하고 글들을 읽을 때는 주의를 해야 한다. 블로거들 중에는 협찬을 받는 사람도 있는 것 같다. 이 경우에도 그 업체에 불리한 글은 다 빼놓게 되므로 역시 주의해야 한다. 이런 점들만 주의한다면 업계에서 떠도는 소문이나 소식들을 빨리 접할 수 있는 공간으로 활용하기엔 좋은 것 같다.

블로그 말고 마이크로 블로그라고 해서 소식이 더 빨리 퍼지는 공간이 있다. 트위터나 페이스북 같은 SNS 가 바로 그것인데, 이들 공간에는 올릴 수 있는 정보의 양이 제한되어 있는 반면에 그만큼 정보가 빨리 퍼진다. 물론 그만큼 신빙성은 더 떨어진다. 실제로 확인되지 않은 루머가 가장 빨리 퍼지는 공간도 바로 이곳이다. 이렇게 빨리 정보가 퍼지는 것을 보면 옛날에 배낭 여행을 갔을 때 동유럽에서 누가 기차에서 떨어졌다는 소식이 스페인까지 전달되는 데 하루가 걸렸던 생각이 난다. 입에서 입으로 전달하는 소식도 그렇게 빨랐는데, 지금은 그보다 더 빠른 정보의 시대가 온 것 같다.

2010년 1월 17일 일요일

블로그에서 Twitter 글 보기


내 블로그의 아래 부분에 보면, 트위터에 내가 올린 글을 볼 수 있다. 이 방법은 위 링크를 따라가 보면 어떻게 하는 지 알 수 있다.

기본적으로 Twitter 자체 내에 블로거로 피드로 피드를 내보낼 수 있는 스크립트가 있다. 이를 이용하는 것인데, Blogger 의 경우에는 "HTML/JavaScript" 추가를 선택하고 다음 코드를 넣으면 된다.


<div <--Add Style Here --> id="twitter_div"><ul id="twitter_update_list"></ul>

<a id="twitter-link" style="display:block;text-align:right;" href="http://twitter.com/seungil_lee">follow me on Twitter</a>

</div>

<script src="http://twitter.com/javascripts/blogger.js" type="text/javascript"></script>

<script src="http://twitter.com/statuses/user_timeline/seungil_lee.json?callback=twitterCallback2&count=5" type="text/javascript"></script>
위 코드에서 seungil_lee 로 된 부분을 보고 싶은 Twitter ID 로 바꿔주면 된다.

내가 주로 보는 프로들.

MBC: 불만제로, 지붕뚫고 하이킥, 무한도전
KBS: 1박2일 (해피 선데이), 개그콘서트

예전엔 드라마도 챙겨봤었는데, 아이폰으로 바꾸고 나서 드라마 다시보기를 할 수 없어서 그만 뒀다. 마침 재밌는 드라마들도 다 끝난 상태고.

최근에 알게된 사이트가 http://www.conting.co.kr/ 가 있다. 방송 3사가 협력하여 다운로드 컨텐츠를 제공하는 곳인데, 한편당 500원, 정액은 15,000원, 야간 정액은 9,900원으로 합법적으로 컨텐츠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곳이다. 이런 곳이 있어야 하지 않겠나 하는 생각은 늘 하고 있었는데, 최근에 합의를 보고 제대로 만들은 것 같다.

이전의 VOD 서비스 못지않게 이곳을 이용하면 적당히 즐길 수 있을 것 같다.

2010년 1월 14일 목요일

구글 주소록 CSV 파일 만들기.

구글 주소록에 한꺼번에 전화번호를 등록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CSV (Comma Separated Values) 파일을 만드는 것이다. 회사 주소록을 정리하면서 주소록 엑셀 파일을 CSV 파일로 변경해서 저장했는데, 생각했던 것보다 난감한 면이 있었던 것 같다. 특히 구글의 설명서를 찾아봐돠 CSV 파일을 올리면 된다고 나와있지, 각 CSV 에서 정의하는 헤더가 어디에 매치가 되는 지에 대한 설명이 없어서 더욱 난감했다. 여러 군데를 찾아본 결과 나에게 쓸모있었던 것을 모아서 여기 기록해 놓는다.

먼저 유용한 헤더들은 다음과 같다.
  • First Name: 이름
  • Last Name: 성
  • Name: 표시명 (이걸 설정 안해주면 구글이 First Name 과 Last Name 을 가지고 멋대로 만든다.)
  • Mobile Phone: 휴대전화
  • Business Phone: 직장 전화
  • Home Phone: 집 전화
  • E-mail Address: 이메일 주소
  • Job Title: 직위 (직장이 명시되어야 제대로 들어간다.)
  • Company: 직장
물론 위 이름만 되는 것은 아니고, 적절한 한글도 어느 정도는 알아먹는 것 같다. (예: 이름, 성 등등) 하지만, 정확한 이름을 찾을 수 없어서 구글 주소록에서 export 를 해보고 거기서 알아보는 것이 가장 정확한 것 같았다. 구글 주소록이 원칙적으로는 이름 / 성 을 구분하고는 있지만, 웹 상에서는 이를 구분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 그래서 이 부분을 편집하는 것이 쉽진 않았다.